Talks

배롱나무와 연꽃

Whitman Park 2023. 8. 14. 16:30

2023년 8월 교회 공동체 아웃리치 행사로 찾아간 부여는 두고두고 배롱나무 꽃과 궁남지 연꽃으로 기억될 것 같다.

마치 지난 봄 프랑스 여행이 모네 정원에서 본 등나무 꽃과 색색깔의 튤립으로 뇌리에 각인되어 있는 것처럼 말이다.

 

* 부여 박물관
* 부여 부소산 공원 입구에서 2023 아웃리치 참가자들

 

한반도를 관통한 태풍 카눈이 수도권과 충청도에 큰 피해를 주지 않고 떠난 탓에 부여 부소산에는 부러진 나뭇가지 하나 없이 깨끗했다. 관광객들도 많지 않아 부소산성 공원 경내는 고즈넉한 분위기마저 감돌았다. 

우리는 입장하기 전에 우선 단체사진부터 찍고 공원 안으로 들어갔다.

사당으로 올라가는 계단 오른쪽에 붉은 배롱나무 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어젯밤 묵었던 숙소의 정원에는 흰 배롱나무 꽃이 있었는데 역시 배롱나무는 진붉은 색이 제격이랄까? 비유하자면 붉은 배롱나무 꽃이 충절의 신하라면, 흰 배롱나무 꽃은 백색의 드레스를 입은 여인의 모습이 연상되기 때문이다.

 

* 부소산성 충렬사 앞의 붉은 배롱나무
* 초동펜션 정원의 흰 배롱나무 꽃

 

우리는 낙화암으로 가는 숲길을 따라 삼삼오오 짝을 이루어 천천히 걸어올라갔다. 인솔자가 산성(山城)이래야 해발 100m도 되지 않으므로 걷기 좋은 산책로라 했으나 더위 탓인지, 아니면 역사의 무게 탓인지 땀이 비오듯 하고 힘들었다.

일행 중 한 분이 백제가 660년 나당(羅唐) 연합군의 공격을 받아 패망하게 된 것은 멀리는 백제 의자왕 초기에 신라에 가혹할 정도의 복수전쟁을 벌인 게 원인이라고 말했다.

 

당시 백제 의자왕은 나제(羅濟)동맹을 깨고 한강 유역을 독차지한 신라에 복수를 다짐하고 있었다. 당시 백제와 국경을 이룬 대야성의 성주가 김품석이었는데 그는 훗날 삼국통일을 달성한 신라 김춘추의 사위였다. 백제군의 공격을 받아 대야성이 함락된 후 성주 김품석이 항복하였으나 신라의 왕실임에도 김품석과 김춘추의 딸은 참수를 당했다. 의자왕의 할아버지 성왕이 신라정벌에 나섰다가 포로로 잡혀 참수형을 당한 데 대한 의자왕의 앙갚음이었다.

절치부심하던 김춘추는 외교전선에 나서 고구려와 제휴하는 데 실패하자 당나라로 가서 안시성 전투에 패하고 돌아온 당 태종에게 함께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키면 당나라가 고구려를 정벌할 때 지원하기로 밀약을 맺었다.

그리하여 소정방이 이끄는 당나라 13만 대군이 금강 하구를 거쳐 사비성을 공격해 오자 의자왕은 태자를 데리고 웅진성으로 도피했다. 의자왕이 즉위 초와는 달리 허랑방탕에 빠져 성충 같은 충신을 멀리하고 군비를 소홀히 했던 탓이었다. 논산 부근 황산벌에서 계백장군이 5000명의 결사대를 이끌고 5만여 신라군과 맞서 싸웠으나 중과부적이었다.

 

 

또 숫적으로 삼천궁녀가 맞느냐는 토론도 벌어졌다.

이태백이 뤼산(廬山)의 폭포수를 보고 '비류직하 삼천척(飛流直下 三千尺)'이라고 표현한 것처럼 숫자가 많다는 과장법일 따름이다. 결국 사바성의 궁녀들은 당나라 군사들에게 능욕을 당하느니 차라리 죽음을 택하겠다고 낙화암 절벽 아래로 몸을 던졌던 것이다.

우리도 현장에 가서 보았거니와 절벽 아래 바위 위로 다투어 떨어졌으니 시산혈해(屍山血海)를 이루고 아비규환(阿鼻叫喚)의 비명이 진동했으리라. 예나 지금이나 지도층이 과오를 범하면 백성이 죽을 고생을 하는 법이다.

 

 

이와 같은 역사의 무게 때문인지 낙화암까지 가는 길은 너무 멀어 보였다. 중간 지점에서 색소폰 악사가 흥겨운 가요 메들리를 들려주었음에도 우리 일행은 쉬지 않고 걸었다. 고갯마루 휴게소에서 권사님이 제안하셔서 멜로나 바와 비비빅으로 타는 목을 축일 수 있었다.

1500년 이상 세월이 흘렀음에도 낙화암의 백화정 정자에서는 예나 다름없이 유유히 흐르는 백마강이 내려다 보였다.  

저 물길로 해서 백제의 상선이 당나라, 일본을 오가며 교역을 벌이고 백제의 번영을 가져왔을 것이다. 그러나 국운이 기울자 적군 침략의 통로가 되었고 나라는 멸망하고 말았던 것이다. 의자왕과 태자를 비롯한 백제의 귀족과 평민 1만여 명이 백성들이 울부짓는 가운데 해로를 통해 당나라에 포로로 끌려갔다고 전한다. 당나라로서는 백제의 저항이 두려워 그들을 볼모로 잡아놓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 부여 낙화암 백화정

* 백화정에서 내려다 보이는 백마강

* 고란사 나룻터로 내려가는 계단

 

고란사로 내려가는 길은 가파르고 계단으로 되어 있었다.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무릎이 안좋은 사람은 꽤 힘이 들었다. 

고란사 약수는 3년을 젊게 한다는 말이 있지만 다들 약속이나 한듯이 약수를 마시러 가는 것을 포기하고 황포돛배를 타는 바지선 형태의 나룻터로 서둘러 내려갔다.

이 때 한 분이 문제를 냈다. "낙화암 정자에 휴대폰을 놓고 내려왔다면 다시 뛰어올라가 갖고 올 사람은?" 모두들 고개를 절래절래 내저었다. 무슨 연고인지 우린 모두 너무 지쳐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아웃리치 행사를 위해 동분서주한 데다 합창 공연까지 했으니 무리는 아니었다. 

 

그러한 만큼 '서동호'라는 이름의 황포돛배가 바람이 아닌 모터의 힘으로 가는 배였으나 시원한 강바람을 맞으며 15분 가량 선유(船遊)를 즐겼다. 서동은 백제 왕자의 신분을 숨기고 미모가 빼어난 신라의 선화공주를 아내로 맞기 위해 경주의 아이들에게 마(군고구마 같은 먹거리)를 나눠주며 '서동요'라는 페이크 뉴스를 퍼뜨린 장본인이었다. 그는 나중에 백제 무왕이 되었고 선화공주와의 사이에 의자왕을 낳았다.

최근 익산에서 발굴된, 무왕비(武王妃)의 것으로 추정되는 소왕릉의 주인이 신라공주가 아닌 백제 고관의 딸로 밝혀져 화제가 되었었다.

 

* 백마강 낙화암

 

우리 일행은 버스를 타고 마지막 일정인 궁남지(宮南池)로 갔다. 인솔자가 서울로 떠나기 전에 그곳 카페에서 아이스 커피를 대접한다고 해서 처음엔 그러려니 생각했다.

그러나 들어가 보니 부여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소문난 브런치 카페였다. 부소산성 경내보다 이곳 카페 안에 사람이 더 많아 보였다. 게다가 홀 밖에는 이름처럼 연못이 펼쳐져 있고 연꽃이 피어 있었다.

우리 일행은 시원한 에어컨 바람을 쐬며 아웃리치를 주관한 방장과 방모가 테이블마다 날라다 주는 팥빙수를 나눠 먹었다.

낙화암에 가보고 내린 결론이었지만 지도층이 바로 서고 부지런해야 백성이 편안해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 부여 궁남지 브런치 카페 267

궁남지 연못에 나가서 보니 물위에 핀 수련꽃과  토란처럼 진흙 밭 위로 높이 자란 연잎 사이로 신비로운 색깔의 연꽃이 우리를 맞아 주었다.

전에 이 블로그에서 미당 서정주 선생의 시에 곡을 붙인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를 나름대로 영문으로 번역하여 분석해 본 바 있다. 마침 부소산성을 둘러본 후 망국의 한(亡國 恨)에 심정이 울적했던 터라 만해 한용운의 불가의 게송(偈頌) '입전수수'에 나오는 연꽃이 더 어울릴 것 같아 아래에 소개하고자 한다.

 

* 궁남지에 핀 연꽃

 

 

入廛垂手 (입전수수)  - 만해 한용운

Entering Marketplace for Attention   by Hahn Yong-un

 

入泥入水任去來

哭笑無端不盈腮

他日茫茫苦海裏

更敎蓮花火中開

진흙탕 물속을 마음대로 드나들면서

울고 웃는 얼굴엔 그 흔적마저 사라졌구나

다른날 아득한 고통의 바다를 헤쳐가며

다시 연꽃에 일러 불속에서도 꽃을 피게 하리라

Wading in and out of the muddy water at will,
While crying and smiling, my face has lost such traces.

Another day, wading through the vast sea of pain,
I'll tell the lotus to bloom again, even in fire.

 

 

재가승(在家僧)이었던 만해 한용운(卍海 韓龍雲, 1879~1944)이 불가(佛家)의 유명한 입전수수(入廛垂手: 속세의 시장에 들어가 공손히 손을 내린다는 뜻) 게송을 본떠 만든 칠언절구(七言絶句)다.[1]

수도승이 산사(山寺)에 들어앉아 참선만 하고 있을 수 없으니 진흙탕 물속이라도 서슴치 말고 뛰어들어야 한다는 말씀이다. 중생과 함께 울고 웃더라도 얼굴에 그 흔적을 남겨서는 안 된다. 부처의 도를 닦는 일이 속세 고통의 바다를 헤쳐가는 도중에 불 속에서라도 화사한 연꽃을 피워 중생을 계도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오리지널 곽암 선사의 심우도(尋牛圖) 선시[2]의 입전수수 편은 다음과 같다.

 

露胸跣足入廛來   맨가슴 맨발로 저자에 들어와 보았더니

抹土途灰笑滿顋   재투성이 흙투성이라도 얼굴 가득 함박웃음 짓네

不用神仙眞秘訣   신선의 비법을 쓰지 않더라도

直敎枯木放花開   당장 마른 나무 가지에 일러 꽃을 피게 하리라

 

연꽃(lotus)은 남아시아가 원산지라고 하며, 이집트와 그리스 신화에서 신성시하였고 다산(多産)과 생명의 창조, 풍요와 번영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겼다. 불교의 출현에 따라 연꽃은 부처님의 탄생을 알리는 꽃이 되었고 부처님과 큰스님들은 연꽃 위에 앉는 모습으로 많이 그려졌다. 

중국에서는 불교 전파 이전부터 연꽃이 진흙 속에서도 깨끗한 꽃을 피우는 모습을 보고 속세에 물들지 않는 '군자의 꽃'이라 여겼다. 그리고 연밥(종자)이 많이 달리는 점에서 다산(多産)의 징표로 삼고, 잎 줄기 뿌리 모두 유용하게 쓰이는 점에서 소중하게 다뤘다. 중국에 들어온 불교에서는 신성한 연꽃이 자라는 연못이 극락세계라고 생각하였기에 사찰 경내에 연못을 만들고 연꽃을 피우는 관행이 굳어졌다. 그리고 선비들 또한 연꽃이 피는 모습과 향기를 글과 그림으로 많이 예찬하곤 하였다.

 

* 부여 홍산면 저수지 앞 보라색 맥문동이 만개한 초동펜션 정원
* 귀경길 저녁 하늘의 구름이 여러 가지 모습으로 비쳤다.

 

미국 선교사에 의해 우리나라에 전래된 개신교의 선교 봉사 활동인 아웃리치 행사를 마칠 즈음에 궁남지의 연꽃을 보았다.

불가의 입전수수 정신은 연꽃 같은 심볼을 쓰지 않는다 뿐이지 오히려 기독교에서 활발하게 실천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아프리카 오지에서 흑인 환자들을 진료한 슈바이쳐 박사, 인도 캘커타의 빈민가에서 가난한 사람과 병약자를 돌보았던 테레사 수녀라 할 수 있다. 

우리 교회에서도 항상 "낮은 곳으로" 표어에 따라 각 공동체가 분담하여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선교와 자선활동, 이주노동자 섬김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서울로 향하는 버스 안에서 각자 이번 아웃리치에 대한 소감을 발표할 기회가 있었다. 나로서는 망국의 한을 품은 부소산성 경내의 붉은 배롱나무 꽃과 진흙탕에서도 고결한 꽃을 피운 궁남지의 연꽃이 이번 행사의 의미를 압축한 것이라 생각되었다. 

 

Note

1] 만해 한용운은 서울 성북동 뒷산 자락에 기와집을 한 채 지었다. 조선일보 사장인 계초 방응모가 만해의 형편이 어려운 것을 알고 자금을 내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함께 그의 거처를 마련해 준 것이다. 그는 '잃어버린 나의 본성을 찾자'는 불교적 뜻이 담긴 '심우장(尋牛莊)'이란 현판을 내걸었다. 다른 집처럼 남향으로 지으면 보고 싶지 않은 총독부 건물이 보일 것이라며 북향(北向)으로 지었다고 한다.

만해는 조선일보에 청나라 말기 중국을 배경으로 한 장편소설 '흑풍'을 연재(1935~1936)한 데 이어 1939년부터는 같은 신문에 '삼국지'를 번역ㆍ연재했다. 1940년 8월 총독부가 조선일보를 강제 폐간하자, 만해는 '신문이 폐간되다'라는 한시를 썼다. "붓이 꺾이어 모든 일 끝나니/ 이제는 재갈 물린 사람들/ 뿔뿔이 흩어지고/ 아, 쓸쓸키도 쓸쓸한지고/ 망국의 서울의 가을날/ 한강의 물도 흐느끼느니…."

2023년 초 만해가 쓴 '님의 침묵' 초판본이 경매에서 1억5100만원에 낙찰되어 한국 현대문학 작품 중 최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출처: 조선일보, [뉴스 속의 한국사] "만해 한용운", 2023. 8. 10.

 

* 서울 성북동에 있는 만해 한용운의 집, 심우장(尋牛莊). 출처: 문화재청

 

2] 중국의 선종에서는 본래 청정한 마음의 본모습 즉, 참된 자기를 '마음 소(心牛)'에 비유하였다. 참된 자기를 선(禪) 수행을 통해 찾는 과정을 천진난만 동자가 잃어버린 소를 찾아 길들인 후 풀피리를 불며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오는 모습으로 표현했다. 이 수행의 과정을 10단계로 나누어 알기 쉽게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십우도(十牛圖)' 또는 '심우도(尋牛圖)'이다. 본래 도교에서는 수행 과정을 '팔우도(八牛圖)'로 묘사했으며, 티베트에서는 소 대신 코끼리를 그려 넣은 '십상도(十象圖)'를 그리고 있다.
송나라 곽암 선사는 심우도의 10단계에 따라 ① 소를 찾아 나서다(尋牛) ② 소의 발자취를 보다(見跡) ③ 소를 찾다(見牛) ④ 소를 붙잡다(得牛) ⑤ 소를 길들이다(牧牛) ⑥ 소를 타고 집에 오다(騎牛歸家) ⑦ 소를 잊고 사람만 남는다(忘牛存人) ⑧ 사람도 소도 함께 잊다(人牛俱忘) ⑨ 본래의 근원에 들어가다(返本還源) ⑩ 저자거리에 나서다(入廛垂手) 등 10편의 선시를 남겼다. 참고: 서주석, 「심우도와 시 치료」, 문학아카데미, 2017.

'Tal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김 없는 계절의 순행  (3) 2023.09.13
여름을 보내고 가을을 맞으면서 (送夏迎秋)  (0) 2023.08.31
코시안 소년의 개망초 소원  (0) 2023.07.05
일상에서 느끼는 행복  (0) 2023.06.26
챗GPT와 운명론  (0) 2023.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