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영화 〈Oblivion〉을 보며 떠오른 생각

Whitman Park 2022. 9. 14. 11:33

9월 11일 추석 특선영화로 OBS(경인방송)에서 오블리비언〉(2013)을 보았다.2077년 외계인의 침공으로 폐허가 된 지구에서 벌어진 사건을 다룬 SF영화였다. 살아남은 인류는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으로 모두 이주하였고 지구 상에는 스캐빈저(scavenger)라고 하는 일단의 무리가 외계인의 재침공에 대비하면서 생존을 위해 분투하고 있다는 설정이었다.

 

그래픽 소설 Oblivion (망각)을 쓴 저자 조지프 코신스키가 감독으로서 직접 연출을 맡고, 톰 크루즈, 올가 쿠릴렌코, 모건 프리만 등이 출연하였다. 그리고 IMAX로 상영되어 관객들로부터 크게 호평을 받았다.[1]

이 영화를 연휴 기간 중 집에서 화면과 음향효과를 최대한 좋게 해서 감상하노라니 전에 어디서 많이 본듯한 느낌(旣視感, déjà vu)이 들었다. 이 점이 바로 이 영화가 호평과 혹평 양 극단의 평가를 받게 된 요인임을 알게 되었다.

 

* 2077 외계인 침공으로 황폐해진 지구에서는 드론이 유력한 교통수단이다. 이하 사진: OBS에서 캡쳐
* 인류는 토성의 위성 타이탄으로 떠나고 복제인간들도 사랑을 나눌 줄 안다.

 

영화의 줄거리

공상과학영화로서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미래가 어떻게 달라질지 모르므로 만화 같은 줄거리는 큰 의미가 없다고 본다.

무대는 2077년 외계인의 침공을 받은 지구다. 인류는 여러 나라가 연합하여 외계인의 침공에 맞서 싸우다가 핵전쟁이 벌어지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으로 이주한 지 오래다.

지구 최강의 전사 잭 하퍼(톰 크루즈 분)는 타이탄으로 이주하는 다국적 선단의 호송 및 경비 책임자였다. 그런데 그만 외계인에게 생포되어 그와 똑같은 수많은 복제인간(clone)들이 만들어진다. 그가 탑승했던 오딧세이호에는 러시아 여군 줄리아(올가 쿠릴렌코 분)도 같이 타고 있었다. 그 후 복제인간 잭 하퍼는 수많은 우주 전투에 투입되어 지구인들과 싸운다.

 

지구에서 스캐빈저 무리가 외계인 군대를 공격해 옴에 따라 실제인간 잭 하퍼도 지구로 파견된다. 구름 위에 건설된 외계인의 기지 스카이 타워에서 연락관 비카와 함께 지내면서 외계인 본부가 시달하는 명령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간간히 옛날의 기억이 되살아 나면서 어느날 지구에 불시착한 드론에서 구조된 여인이 그의 의식을 일깨운다. 바로 우주 전투 중에 헤어졌던 줄리아였다. 스캐빈저 및 그들의 우두머리 말콤 비치(모건 프리먼 분)와 싸우는 동안 점차 의식이 되살아난 잭은 그의 기억이 통째로 지워진 과거에 무슨 음모가 있었음을 깨닫는다. 그리고 복제인간인 또 다른 잭과 싸워 그의 드론을 탈취하여 본부 기지에 잠입하는 데 성공한다.

마침내 임무를 완성한 잭은 줄리아에게 호숫가에 집을 짓고 평화롭게 살자고 한 약속을 지켜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다.

 

* 불시착한 드론에서 주인공은 자신의 옛 연인을 발견하고 놀란다.

 

감상의 포인트

이 영화는 우주비행과 전투 씬의 컴퓨터 그래픽(CG)을 세밀하게 다듬느라 많은 제작비를 들였으나 평론가들의 반응은 썩 좋지 않았다. 이를테면 다른 영화 2001 Space Odyssey, The Moon 같은 SF명작을 짜깁기한 것 같다는 말이 나돌아 높은 평가는 받지 못하였다.

 

지구상에 불시착한 드론에 잭 하퍼가 장래를 약속한 러시아 여인 줄리아가 타고 있었다는 내용도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았다. 내 경우 오래 전에 본 영화 English Patient (1997)의 한 장면이 생각났다.

그 영화에서 가장 가슴 저미는 대목은 경비행기가 사막에 불시착하였는데 연인이 큰 부상을 입어 바로 손을 쓰지 않으면 죽게 되는 상황이었다. 주인공에게는 두 가지 선택지 밖에 없었다. 하나는 연인 곁에서 속수무책으로 죽어가는 모습을 지켜볼 것인가? 살아날 가망이 없다면 조금이라도 연인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나을지 모른다. 하지만 연인을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은 것이므로 그는 죽는 날까지 죄책감을 떨칠 수 없을 것이다. 

다른 하나는 속히 구조대를 불러와 연인을 가까운 병원으로 후송하는 것이었다. 이 방안은 사막을 벗어나기 위해 목숨을 걸어야 하고, 구조대를 데려오는 게 지체되면 그 사이에 연인은 무서움과 외로움 속에  죽을 수도 있는 것이다. 비록 가능성은 낮지만 성공하면 살릴 수도 있는 만큼 주인공은 망설이지 않고 두 번째 방안을 택했다. 결과는 최악이었다. 그가 소지했던 사막지도를 독일군에게 뺏기고 그 때문에 수많은 연합군이 희생되었다. 결국 연인도 구하지 못했으니 주인공은 회한과 죄책감에 빠지지 않을 수 없었다.

영화 〈오블리비언〉에서 잭 하퍼는 줄리아를 안전하게 외계인의 우주기지로 데려가 그녀의 목숨을 구하고 해피엔딩을 맞을 수 있었다.

 

* 인류가 남기고 간 그림에서 두 사람은 집을 향한 간절한 소망을 읽는다.

 

그리고 〈오블리비언〉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잭과 줄리아가 맨해튼의 버려진 도서관에서 한 여자가 언덕 위의 집을 향해 기어가는 그림[2]을 보며 두 사람의 가정을 간절히 원하는 모습이었다. 나무 한 그루 없는 들판 위의 집이었지만 외계인의 침공 이후 인류가 떠난 황폐해진 지구의 현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어서 더욱 실감이 나는 것 같았다.

이 그림은 영화 2001 Space Odyssey에도 나왔기에 이 영화 제작자는 그에 대한 오마쥬(hommage)로 보여준 것이기도 하다. 실제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 걸려 있는 이 그림이 영화에 몇 차례 등장하는 만큼 중요한 모티브임에는 틀림 없다.

 

* 호숫가에 집을 짓고 꽃과 나무를 키우며 처자와 함께 사는 것은 꿈이련가!

 

추석 연휴 기간 중 FM 방송에서도 고향을 찾는 청취자들을 고무하는 의미에서 고향을 소재로 한 음악을 많이 들려 주었다.[3]

팻 매쓰니 그룹의 "Last Train Home"이야말로 옛날 기차 소리가 나서 제격이었다.

마침 이날 듣게 된 정미조의 "귀로"는 색다른 느낌으로 실감 있게 다가왔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임무를 마친 주인공이 줄리아와 어린 딸이 기다리고 있는 호숫가 집 앞에 서 있는 장면과 겹쳐 보였기 때문이다.

 

 

귀 로 —  노래 정미조[3]

On the Way Home  sung by Jeong Mi-jo

1

어린 꿈이 놀던 들판을 지나

아지랑이 피던 동산을 넘어

나 그리운 곳으로 돌아가네

멀리 돌고 돌아 그곳에

Passing thru the field once filled with childhood dream, and
going over the hill covered by heat hazes,
I’m going to home, my sweet home
after wandering about so many places.

담벼락에 기대 울던 작은 아이

어느 시간 속에 숨어버렸는지

나 그곳에 조용히 돌아가

그 어린 꿈을 만나려나

The small boy used to weep standing against a wall
now disappears in the midst of flying time.
I come inside the place quietly, and
wonder to meet again the childhood dream.

2.

무지개가 뜨는 언덕을 찾아

넓은 세상 멀리 헤매고 다녔네

그 무지개 어디로 사라지고

높던 해는 기울어가네

Looking for the hill generating a rainbow,
I have wandered here and there in this world.
Where is the rainbow gone?
The sun in the sky declines.

새털구름 머문 파란 하늘 아래

푸른 숨을 쉬며 천천히 걸어서

나 그리운 그곳에 간다네

먼 길을 돌아 처음으로

Under the blue sky with cirrus clouds,
I walk slowly taking a green breath
to the place which I’ve longed for
after wandering a long way to the initial departure.

 

Note

1] 영화 Oblivion은 코신스키의 동명의 그래픽 소설을 바탕으로 칼 가듀색과 마이클 드브루인이 공동으로 각색을 한 2001, Space Odyssey 류의 Sci-Fi Film이다. 따라서 러닝타임 124분의 영화 및 OST는 곳곳에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전설적인 영화에 대한 오마쥬가 포함되어 있다. 백야를 이용해 아이슬란드 화산지대에서 많은 분량을 촬영한 이 영화에 대한 평단의 반응(Rotten Tomatoes 평점 5.88/10)은 별로였다. 그러나 관객은 물론 홈비디오, 블루레이 DVD에 대한 호응이 커서 제작비 1억 2천만불을 크게 상회하는 287백만불의 수입을 올렸다고 한다.

 

2] 자신과 이웃의 삶을 즐겨 화폭에 옮긴 앤드류 와이어스(Andrew Newel Wyeth, 1917~2009)의 그림 Christina's World (1948)는 뉴욕 현대매술관(Museum of Modern Art: MoMA)에 소장되어 있다. 화가가 여름을 보내던 메인주의 이웃집에 살던 안나 크리스티나 올슨은 서른 살 때부터 근 위축증으로 다리를 못쓰게 된 장애인이었다. 그녀와 친하게 지내던 화가는 어느 날 우연히 창밖으로 평소 휠체어에 앉기를 거부하던 올슨이 언덕을 기어가는 모습을 목격하고 이 그림을 그렸다. 그런데 록펠러의 기부금으로 세워진 뉴욕 MoMA가 당시 별로 알려지지도 않은 30대 초반 화가의 그림을 영구 소장품으로 선뜻 구매하여 크게 화제가 되었다고 한다. 이 그림은 오늘날 MoMA의 대표적인 전시 작품으로서 많은 관람객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3] 'Oblivion, 망각(忘却)'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피아졸라(Astor Piazzolla)의 탱고 음악이 아닐까 한다. 주선율을 반도네온이 맡아 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피아노 반주에 바이올린과 첼로가 애조 띤 멜로디를 연주한다.

그런데 어느날 클래식 음악채널 Arte에서 두 피아니스트 앤더슨과 로가 Four Hands로 연주하는 것을 보았다. 심지어는 여성 연주자가 피아노 위로 올라와 현을 때리는 해머를 조작하여 음감을 최대한으로 살리기도 했는데 이 장면은 노래 제목과는 달리 절대 잊을 수 없을 것 같았다.

 

 

4] "개여울", "휘파람을 부세요" 같은 히트곡을 불렀던 1970년대의 디바 정미조는 1979년 돌연 가수활동을 중단하고 파리로 유학을 떠났다. 미술 공부를 마치고 수원대학교 교수가 되었던 정미조는 정년을 맞은 후 2016년 "37년"(가수활동 공백기간을 의미)이라는 독집 앨범을 내놓았다. "귀로"와 같이 호소력 짙은 음색으로 다시 노래를 부르고 있다.